728x90
SMALL
시스템의 시작과 종료
* 재시작
reboot
* 종료
halt / shutdown -h now
- p + 10 10분 후에 종료하기
- r 13:00 -> 13시에 재부팅
- c -> 예약 취소
shutdown -r now
init 0
암호는 password
--사용자의 생성/삭제
-- useradd, adduser
adduser inho
passwd inho
chage inho -> 계정의 설정 정보조회
passwd inho
chage -l inho -> 계정의 설정 정보조회
chage -m 2 inho -> 2일후 암호 수정 가능
chage -M 30 inho -> 암호 수정후 30일간 사용가능
chage -W 10 inho -> 암호 만료 10전 알림
useradd inho
groupadd inho
--원격자의 서버 접속
-- tel
<c
-- 과정명: FUll Stack SW융합 실무 부트캠프
-- 기 간: 2022.08.01 - 2023.03-13
-- 담 임 : 강예진
-------------------------------------
date : 날자를 확인
date '+%Y-%m%-d'
cal, cal 2023
clear
echo '안녕하세요'
-e,
-n
echo -n '안녕하세요 오늘 날씨가 춥습니다.' - 개행안됨
echo -e '안녕하세요\n오늘 날씨가 춥습니다.'
echo -e "과정명: FUll Stack SW융합 실무 부트캠프\n기 간: 2022.08.01 - 2023.03-13\necho 담 임 : 강예진"
logname
whoami -> 현재 접속한 창에 대한 사용자의 계정
who -> 현재 접속한 사용자의 계정 목록
hostname
-i
ifconfig -> 접속한 서버의 IP주소 확인.
env
env | grep PATH
history
![라인번호]
-d[라인번호] -> 해당 라인의 명령어 삭제
-c -> 전체 명령어 삭제
--
pwd -> 현재 작업위치
ls -> 파일의 목록 조회
-F -> 파일의 속성 확인
@: 링크파일, /: 디렉토리, *: 실행파일
-a -> 숨긴 파일을 조회
-l -> 파일을 상세하게 조회
-R -> 하위 디렉토리 까지 조회
ls -alFR
1 2 3 4 5 6 7 8 9 10
l rwx rwx rwx. 1 root root 14 8월 14 2019 system-release -> centos-release
- rw- r-- r--. 1 root root 23 8월 14 2019 system-release-cpe
d rwx r-x r-x. 4 root root 150 11월 11 2019 systemd
- rw- rw- r-- 1 centos centos 0 12월 19 12:06 myfile
-- 1
파일의 속성 -> l:링크 파일, -:일반파일, d:디렉토리
-- 2
rwx -> 자신(소유자)의 실행권한 r: read, w:write, x: excute
-- 3
rwx -> 그룹의 실행권한 r: read, w:write, x: excute
-- 4
rwx -> 타인의 실행권한 r: read, w:write, x: excute
-- 5:I-node수, 6:자신 7:그룹, 8: 파일의 크기,
-- 9:파일의 생성및 마지막 수정일, 10: 파일명
-----
cd : 디렉토리 옮겨가기
cd /etc
-- 홈디렉토리 이동
cd ~
cd 엔터
-- 절대경로, 상대경로
절대경로: /(root)에서 시작한다.
상대경로: 현재의 디렉토리 시작한다.
cd /home/centos
cd ../../etc
pwd : 현재 작업 디렉토리을 확인
-- 파일을 생성하는 법
touch myfile 빈 파일을 생성한다.
문서편집기 vi, nano
복사/이동/재명명 : cp, mv
리다이렉트 :
ls > ls-file
> : 새로운 파일의 생성
>> : 새로운 파일의 생성 & 파일의 내용을 추가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
cat my-fiel
more : 한 페이지씩 조회
less : 한 페이지씩 조회 방향키 사용가능
tail : 파일의 끝부분 조회
-[n] : 해당 수의 라인조회
-f : 해당 수의 라인조회
head : 파일의 앞부분 조회
-[n] : 해당 수의 라인조회
vi / nano
-- 파일의 삭제
rm 파일명
-r : 하위디렉토리까지 삭제
-f : 삭제시 물어보는거 취소
---
su - root : 해당 계정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su root : 현재의 디렉토리에서 해당 계정의 권한으로 사용
-- 계정을 바꾸거나, 작업전에 확인 해야할 사항
hostname
whoami
pwd
ls
who
----
-- 문서편집기 vi
-- vi 파일명
-- 명령모드 -> 편집 상태 이동
a, i, o, O
a: cursor커저의 뒤쪽에 삽입
i: 커저의 앞쪽에 삽입
o: 커저의 아래쪽에 삽입
O: 커저의 위쪽에 삽입
-- 편집저장 및 종료
:wq -> 저장하고 종료하기
:q! -> 편집한 문서 버리고 종료하기
-- 명령모드
[n]dd : [n]줄(Line) 삭제
[n]x : [n]문자(char) 삭제
[n]yy : [n]줄(Line) 복사 -> ctl+c
p : ctl+v
cw : 단어를 수정
gg : 문서의 처음으로 이동
G : 문서의 마지막으로 이동
/문자열: 문자열 찾기
-- 라인모드
u : 직전작업 취소
e! : 현재 편집 문서를 버리고 최초 문서로 다시 읽어오기
[n]: 해당라인으로 이동/재명명
set number : 편집문서의 줄번호 보기
set nonumber : 편집문서의 줄번호 취소
----
-- 문서편집기 nano
ctl_x > y > enter : 편집문서 저장하고 종료하기
줄번호
shoft + alt + 3
문자열 찾기/바꾸기
ctl+w -> 찾기
ctl+\ -> 바꾸기
문자열 복사/붙어넣기
alt+a, alt+6, ctl+u
한줄 삭제
ctl+k
작업취소/실행 (undo/redo)
undo: alt+u
redo: alt+e
-------------------------
-- 권한의 변경
l rwx rwx rwx. 1 root root 14 8월 14 2019 system-release -> centos-release
4 2 1
r w x
0 0 1 = 1
0 1 0 = 2
0 1 1 = 3
1 0 0 = 4 *
1 0 1 = 5 *
1 1 0 = 6 *
1 1 1 = 7 *
--
자신(owner) : u
그룹(group) : g
타인(other) : o
--
chmod 권한 파일명
chmod 766 ed-edit01
------
-- 디렉토리의 생성/삭제
mkdir inho
-p : 하위 디렉토리까지 한번에 생성..
mkdir -p ./inho/shin/in/ho
rmdir inho -> 현재 디렉토리에서 삭제
rm inho -> 하위 디렉토리 모두 삭제
-r : 하위 디렉토리 모두 삭제
-f : 삭제 물어보지 않고 삭제
+++++++++++++++++++
---------
-- 파일 검색
cat /etc/passwd
1 2 3 4 5 6 7
centos:x:1000:1000:centos:/home/centos:/bin/bash
1: 사용자의 계정
2: 암호
3: 사용자ID
4: 그룹ID
5: 계정의 설명
6: 홈디렉토리
7: 계정이 사용하는 shell
--
grep bigdata /etc/passwd
-n : 발견된 문자열의 라인출력
-H : 파일의 이름과 함께 찾는 문자열 출력
-r : 하위 디렉토리까지 검색
--
find ./ -name '*.txt'
find ./ -name '*.txt' -exec ls -l {} \;
find ./ -empty
find ./ -type d
find . -name '*.txt'
find . -type f -name '*txt'
find . -type f -name '*txt' -exec ls -l {} \;
find . -type f -exec rm {} \;
find . -type d -- 디렉토리만 찾기
find . -empty -- 크기가 0인 파일 찾기
find . -type d |wc -l
d : 디렉토리, f : file, l: 링크파일
find . -user stduser
-- word count
wc [옵션] 파일명
-l : 줄 수
-w : 단어(word) 수
-c : 문자(charater) 수
ls -l | wc -l
-- 링크파일 생성
ln -s inho h : h->inho
-- 명령어 위치확인
which cp : 명령어의 위치를 확인
whereis cp : 명령어, 메뉴얼의 위치를 확인
man cp : 메뉴얼 보기
=================================
--*
--**
--***
--<< 별을 인쇄합니다 >>---
숫자를 입력하세요 - read
-- while, for문 활용하기
-- 1-10까지 더하기
-- 현재 디렉토리에 일반파일의 앞에 3줄을 출력하기
=================================
-- 시스템의 시작과 종료
-- 재시작
reboot
-- 종료
halt
shutdown -h now
-p + 10 10분후에 종료하기
-r 13:00 -> 13시에 재부팅
-c -> 예약 취소
shutdown -r now
inti 0
=================================
-- 사용자의 생성/삭제
-- useradd, adduser
adduser inho
passwd inho
chage -l inho -> 계정의 설정 정보조회
chage -m 2 inho -> 2일후 암호 수정가능
chage -M 30 inho -> 암호 수정후 30일간 사용가능
chage -W 10 inho -> 암호 만료 10전 알림
useradd inho
groupadd inho
=================================
-- 원격지의 서버 접속
-- telnet(23), ftp(21), ssh(22), http(80), https
-- ping 172.30.1.66
172.30.1.66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172.30.1.66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172.30.1.66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172.30.1.66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계정 : stduser / stduser
-- 과정명: FUll Stack SW융합 실무 부트캠프
-- 기 간: 2022.08.01 - 2023.03-13
-- 담 임 : 강예진
-------------------------------------
date : 날자를 확인
date '+%Y-%m%-d'
cal, cal 2023
clear
echo '안녕하세요'
-e,
-n
echo -n '안녕하세요 오늘 날씨가 춥습니다.' - 개행안됨
echo -e '안녕하세요\n오늘 날씨가 춥습니다.'
echo -e "과정명: FUll Stack SW융합 실무 부트캠프\n기 간: 2022.08.01 - 2023.03-13\necho 담 임 : 강예진"
logname
whoami -> 현재 접속한 창에 대한 사용자의 계정
who -> 현재 접속한 사용자의 계정 목록
hostname
-i
ifconfig -> 접속한 서버의 IP주소 확인.
env
env | grep PATH
history
![라인번호]
-d[라인번호] -> 해당 라인의 명령어 삭제
-c -> 전체 명령어 삭제
--
pwd -> 현재 작업위치
ls -> 파일의 목록 조회
-F -> 파일의 속성 확인
@: 링크파일, /: 디렉토리, *: 실행파일
-a -> 숨긴 파일을 조회
-l -> 파일을 상세하게 조회
-R -> 하위 디렉토리 까지 조회
ls -alFR
1 2 3 4 5 6 7 8 9 10
l rwx rwx rwx. 1 root root 14 8월 14 2019 system-release -> centos-release
- rw- r-- r--. 1 root root 23 8월 14 2019 system-release-cpe
d rwx r-x r-x. 4 root root 150 11월 11 2019 systemd
- rw- rw- r-- 1 centos centos 0 12월 19 12:06 myfile
-- 1
파일의 속성 -> l:링크 파일, -:일반파일, d:디렉토리
-- 2
rwx -> 자신(소유자)의 실행권한 r: read, w:write, x: excute
-- 3
rwx -> 그룹의 실행권한 r: read, w:write, x: excute
-- 4
rwx -> 타인의 실행권한 r: read, w:write, x: excute
-- 5:I-node수, 6:자신 7:그룹, 8: 파일의 크기,
-- 9:파일의 생성및 마지막 수정일, 10: 파일명
-----
cd : 디렉토리 옮겨가기
cd /etc
-- 홈디렉토리 이동
cd ~
cd 엔터
-- 절대경로, 상대경로
절대경로: /(root)에서 시작한다.
상대경로: 현재의 디렉토리 시작한다.
cd /home/centos
cd ../../etc
pwd : 현재 작업 디렉토리을 확인
-- 파일을 생성하는 법
touch myfile 빈 파일을 생성한다.
문서편집기 vi, nano
복사/이동/재명명 : cp, mv
리다이렉트 :
ls > ls-file
> : 새로운 파일의 생성
>> : 새로운 파일의 생성 & 파일의 내용을 추가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
cat my-fiel
more : 한 페이지씩 조회
less : 한 페이지씩 조회 방향키 사용가능
tail : 파일의 끝부분 조회
-[n] : 해당 수의 라인조회
-f : 해당 수의 라인조회
head : 파일의 앞부분 조회
-[n] : 해당 수의 라인조회
vi / nano
-- 파일의 삭제
rm 파일명
-r : 하위디렉토리까지 삭제
-f : 삭제시 물어보는거 취소
---
su - root : 해당 계정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su root : 현재의 디렉토리에서 해당 계정의 권한으로 사용
-- 계정을 바꾸거나, 작업전에 확인 해야할 사항
hostname
whoami
pwd
ls
who
----
-- 문서편집기 vi
-- vi 파일명
-- 명령모드 -> 편집 상태 이동
a, i, o, O
a: cursor커저의 뒤쪽에 삽입
i: 커저의 앞쪽에 삽입
o: 커저의 아래쪽에 삽입
O: 커저의 위쪽에 삽입
-- 편집저장 및 종료
:wq -> 저장하고 종료하기
:q! -> 편집한 문서 버리고 종료하기
-- 명령모드
[n]dd : [n]줄(Line) 삭제
[n]x : [n]문자(char) 삭제
[n]yy : [n]줄(Line) 복사 -> ctl+c
p : ctl+v
cw : 단어를 수정
gg : 문서의 처음으로 이동
G : 문서의 마지막으로 이동
/문자열: 문자열 찾기
-- 라인모드
u : 직전작업 취소
e! : 현재 편집 문서를 버리고 최초 문서로 다시 읽어오기
[n]: 해당라인으로 이동/재명명
set number : 편집문서의 줄번호 보기
set nonumber : 편집문서의 줄번호 취소
----
-- 문서편집기 nano
ctl_x > y > enter : 편집문서 저장하고 종료하기
줄번호
shoft + alt + 3
문자열 찾기/바꾸기
ctl+w -> 찾기
ctl+\ -> 바꾸기
문자열 복사/붙어넣기
alt+a, alt+6, ctl+u
한줄 삭제
ctl+k
작업취소/실행 (undo/redo)
undo: alt+u
redo: alt+e
-------------------------
-- 권한의 변경
l rwx rwx rwx. 1 root root 14 8월 14 2019 system-release -> centos-release
4 2 1
r w x
0 0 1 = 1
0 1 0 = 2
0 1 1 = 3
1 0 0 = 4 *
1 0 1 = 5 *
1 1 0 = 6 *
1 1 1 = 7 *
--
자신(owner) : u
그룹(group) : g
타인(other) : o
--
chmod 권한 파일명
chmod 766 ed-edit01
------
-- 디렉토리의 생성/삭제
mkdir inho
-p : 하위 디렉토리까지 한번에 생성..
mkdir -p ./inho/shin/in/ho
rmdir inho -> 현재 디렉토리에서 삭제
rm inho -> 하위 디렉토리 모두 삭제
-r : 하위 디렉토리 모두 삭제
-f : 삭제 물어보지 않고 삭제
+++++++++++++++++++
---------
-- 파일 검색
cat /etc/passwd
1 2 3 4 5 6 7
centos:x:1000:1000:centos:/home/centos:/bin/bash
1: 사용자의 계정
2: 암호
3: 사용자ID
4: 그룹ID
5: 계정의 설명
6: 홈디렉토리
7: 계정이 사용하는 shell
--
grep bigdata /etc/passwd
-n : 발견된 문자열의 라인출력
-H : 파일의 이름과 함께 찾는 문자열 출력
-r : 하위 디렉토리까지 검색
--
find ./ -name '*.txt'
find ./ -name '*.txt' -exec ls -l {} \;
find ./ -empty
find ./ -type d
find . -name '*.txt'
find . -type f -name '*txt'
find . -type f -name '*txt' -exec ls -l {} \;
find . -type f -exec rm {} \;
find . -type d -- 디렉토리만 찾기
find . -empty -- 크기가 0인 파일 찾기
find . -type d |wc -l
d : 디렉토리, f : file, l: 링크파일
find . -user stduser
-- word count
wc [옵션] 파일명
-l : 줄 수
-w : 단어(word) 수
-c : 문자(charater) 수
ls -l | wc -l
-- 링크파일 생성
ln -s inho h : h->inho
-- 명령어 위치확인
which cp : 명령어의 위치를 확인
whereis cp : 명령어, 메뉴얼의 위치를 확인
man cp : 메뉴얼 보기
=================================
--*
--**
--***
--<< 별을 인쇄합니다 >>---
숫자를 입력하세요 - read
-- while, for문 활용하기
-- 1-10까지 더하기
-- 현재 디렉토리에 일반파일의 앞에 3줄을 출력하기
=================================
-- 시스템의 시작과 종료
-- 재시작
reboot
-- 종료
halt
shutdown -h now
-p + 10 10분후에 종료하기
-r 13:00 -> 13시에 재부팅
-c -> 예약 취소
shutdown -r now
inti 0
=================================
-- 사용자의 생성/삭제
-- useradd, adduser
adduser inho
passwd inho
chage -l inho -> 계정의 설정 정보조회
chage -m 2 inho -> 2일후 암호 수정가능
chage -M 30 inho -> 암호 수정후 30일간 사용가능
chage -W 10 inho -> 암호 만료 10전 알림
useradd inho
groupadd inho
=================================
-- 원격지의 서버 접속
-- telnet(23), ftp(21), ssh(22), http(80), https
-- ping 172.30.1.66
172.30.1.66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172.30.1.66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172.30.1.66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172.30.1.66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계정 : stduser / stduser
728x90
LIST
'Full Stack 교육 회고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2-26 리눅스 (1) | 2022.12.26 |
---|---|
[Linux] 리눅스 vi 에디터 사용법 기초 (0) | 2022.12.21 |
2022-12-21- 리눅스 (0) | 2022.12.21 |
2022.12.20- 리눅스 (0) | 2022.12.20 |
2022.12.19 - 리눅스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