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MALL

기획

(5)
LVM, SWAP, EAI, MDM, DBMS, 실행계획 LVM이란 LVM(Logical Volume Manager)는 리눅스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이다. LVM사용의 장점 1. 유연한 용랑 조절 2. 크기 조절이 가능한 storage pool 3. 편의에 따른 장치 이름 지정 4. disk stripring, mirror volume 등을 제공 CPU 컴퓨터 핵심(뇌) 중앙 처리 장치 모든 연산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공부(계산)하는 능력 RAM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속도, 갯수에 연관 공부할 때 책상의 크기 하지만 공부가 끝나고 책상을 깔끔히 정리해서 책꽂이에 꼽지 않으면 청소하시는 분이 다 버립니다. 그래서 데이터를 꼭 저장하지 않으면 휘발성 메모리 입니다. 책상의 크기가 크면 책을 많이 꺼낼 수 있습니다. 그..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와 린 캔버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돈 버는 방법(비즈니스 모델)이 다양해졌고, 그 결과 비즈니스 모델이란 용어가 자주 언급된다. 비즈니스는 ' 가치를 창출하고, 가치에 대한 대가를 획득하는 일 ' 이다. 신상품을 기획하고, 개발하고 판매하는 것이 비즈니스이며, 비즈니스에 어떻게(how?)를 결합하면 비즈니스 모델이 된다. 에서는 비즈니스 모델을 '하나의 조직이 어떻게 가치를 포착하고 전파하는지, 그 방법을 논리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비즈니스 모델을 상세하게 정의하면 상품기획 또는 사업기획의 내용이 된다.(반대로 상품기획 또는 사업기획을 요약하면 비즈니스 모델이 된다.) 좋은 비즈니스 모델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수익을 창출한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스타트..
UI 기획시 알아야 하는 기초 용어 Default(고정)이란? - Default 값, Default view # 2가지 케이스 # UI Description 화면을 설계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용어가 바로 "Default(디폴트)" 입니다. 때로는 "고정" 이라는 말로도 커뮤니케이션 합니다. 디폴트 값, 고정값은 예를 들어, 카카오톡을 최초 가입 후 처음 나타나는 프로필 사진 이미지가 있습니다. 사진 없이 사람 아이콘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사용자가 수정 또는 입력 없이 초기 설정된 상태, 기본 상태를 Default(고정)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Default view가 있습니다. Scroll, 또는 Flick 같은 사용자의 추가 제스처 없이 보여지는 초기 화면을 말합니다. 보통 가장 중요한 컨텐츠가 이 초기화면 뷰에 보여지도록 ..
웹, 앱 UI 설계 전 알아야 하는 기본 개념 튜토리얼 & 도움말 & 온보딩의 차이 1. 튜토리얼 튜토리얼 화면은 코치 마크라고 하여, 서비스 앱 초기 실행 시, 인터렉션 가이드나 해당 서비스를 안내하는 화면을 말합니다. 그밖에 도움말은 물음표 버튼을 선택 시, 레이어 팝업 형태로 특정 기능 혹은 콘텐츠에 대한 추가 안내 혹은 설명을 할 경우에 제공되는 기능을 말합니다. 2. 도움말 UI가 위젯에 늘 제공하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도움말 메뉴를 별도로 제공하는 서비스도 있습니다. 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성, 인지성을 고려하여 위치와 세부 UI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툴팁 UI라고도 불립니다. 3. 온보딩 온보딩이란, 사용자가 처음 접하는 시스템에 적응하도록 돕는 과정을 말합니다. 슬랙의 슬랫봇처럼 점차적으로 익숙하게 ..
기획자들이 알아야 할 UI 기본 용어 기획자들이 알아야 할 기본적인 UI 용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컴포넌트의 종류를 알아보기 이전에, 각 UI요소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부터 정리해 보았다. 대략적으로 정리하면 총 다섯 가지의 상태 값이 있다. - Enabled: 상호작용이 가능한 상태일 때 - Disabled: (어떤 이유로든) 동작할 수 없는 비활성 상태일 때 - Hover: 마우스 또는 포인터가 올려진 상태일 때 - Focused: 키보드 또는 음성 등의 입력을 통해 강조된 때 - Pressed: 마우스 또는 포인터로 클릭/ 터치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UI 요소와 컴포넌트 정리 1) GNB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최상단을 보면 최상위 메뉴가 존재하는데 이 메뉴를 'GNB'라 부른다. 웹사이트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노출되는 메뉴이며, 주요..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