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이란?]
어떠한 식이 있을때 연산이 이루어지는 피연산자(항, 연산이 이루어지는 데이터)들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
연산자 종류 | 기호 |
산술 연산자 | + - * / % |
대입 연산자 | = += -= *= /= %= |
비교 연산자 | > >= < <= == != |
논리 연산자 | not and or |
증감 연산자 | ++ -- |
삼항 연산자 | 조건식?실행문1:실행문2 |
항이 3개인 연산자: 삼항 연산자
항이 2개인 연산자: 산술 연산자, 대입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항이 1개인 연산자: 증감 연산자
[1. 산술연산자]
+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몫
%: 나머지
public class ex0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um1 = 5;
int num2 = 2;
System.out.println(num1+num2);
System.out.println(num1-num2);
System.out.println(num1*num2);
System.out.println(num1/num2);
System.out.println(num1%num2);
System.out.println("num1의 값은" + num1);
System.out.println("num1과 num2의 값은" + (num1 + num2));
}
}
* 문자형 + 숫자형 = 문자형
* 계산 우선순위에 따라 ()소괄호로 묶기!
* 문자와 숫자 연산은 더하기(+)만 사용가능!
[ 2. 대입연산자 ]
대입연산자란?
연산의 결과를 담을 때 사용된다.
= (대입, 할당연산자) -> a=b ( b는 a에 대입) a=b+1 (b+1은 a에 대입)
+=, -=, *=, /=, %=, &=, ^=, |= ... (복합대입연산자) -> a+=b
해당 기호에 대한 연산을 진행 후 왼쪽 항에 대입하는 연산자
a = a+b (a+b는 a에 대입)
public class ex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1 = 3;
int num2 = 5;
num1 = num2+2;
//num1 = 5 + 2
System.out.println(num1);
num2 += 10;
// num2 += 10 -> num2 = num2 + 10
System.out.println(num2);
}
}
[ 3. 증감연산자 ]
증감연산자란?
변수에 저장된 값을 1증가 혹은 감소
++(증가연산자) ++변수 변수++
--(감소연산자) --변수 변수--
-> 위치에 따라 연산의 결과가 달라진다!
public class ex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3;
System.out.println(++i); //4
//증감연산자가 앞에 붙으면 그 줄에서 바로 1씩 증가가 됨!
System.out.println(i++); //4
//증감연산자가 뒤에 붙으면 다음 줄에서 1씩 증가가 됨!
System.out.println(i);
//=5
}
}
[ 4. 비교연산자 ]
비교연산자란?
부등호 연산,같다/다르다 연산
public class ex0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3;
int b = 6;
System.out.println(a == b); //a와b가 같다
//거짓 false
System.out.println(a != b); //a와b는 같지 않다
//참 true
System.out.println(a > b); //a가b보다 크다
//거짓 false
System.out.println(a < b); //a가b보다 작다
//참 true
}
}
[ 5. 논리연산자 ]
논리연산자란?
NOT, AND, OR
!(NOT) -> 주어진 값을 부정하는 연산자! !(피연산자)
&&(AND), ||(OR) (피연산자1)&&(피연산자2)
< &&(AND) >
피연산자가 Boolean(참/거짓)이어야 함.
(참 명제) && (참 명제) -> true
(거짓 명제) && (참 명제) ->false
< ||( OR ) >
( 참 명제 ) || ( 참 명제 ) -> true
(거짓 명제) ( 거짓 명제 ) ->false
피연산자가 Boolean(참/거짓) 이어야 함.
* 한 개의 참 명제가 있으면 true 이다.
public class ex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nd 연산자는 항 2개가 true여야 결과가 true
System.out.println((1<3) && (4<5));
//true
System.out.println((2<1) && (4<5));
//false
//|| 연산자는 항 2개가 true여야 결과가 true
System.out.println((1<3) || (4<2));
//true
System.out.println((2<1) || (4<2));
//false
}
}
[ 6. 삼항 연산자]
public class ex07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4;
int b = 8;
System.out.println(a==b? "같다" : "다르다");
// -> 다르다
}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다중if문 (0) | 2022.07.27 |
---|---|
JAVA 조건문 - 단순 if 문 & if-else문 (0) | 2022.07.27 |
JAVA 입출력 (0) | 2022.07.27 |
JAVA 변수와 자료형 (0) | 2022.07.22 |
JAVA 정의&특징 (0) | 202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