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M, SWAP, EAI, MDM, DBMS, 실행계획
LVM이란
LVM(Logical Volume Manager)는 리눅스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이다.
LVM사용의 장점
1. 유연한 용랑 조절
2. 크기 조절이 가능한 storage pool
3. 편의에 따른 장치 이름 지정
4. disk stripring, mirror volume 등을 제공
CPU
컴퓨터 핵심(뇌) 중앙 처리 장치 모든 연산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공부(계산)하는 능력
RAM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속도, 갯수에 연관
공부할 때 책상의 크기
하지만 공부가 끝나고 책상을 깔끔히 정리해서 책꽂이에 꼽지 않으면 청소하시는 분이 다 버립니다. 그래서 데이터를 꼭 저장하지 않으면 휘발성 메모리 입니다. 책상의 크기가 크면 책을 많이 꺼낼 수 있습니다. 그것이 프로그램을 많이 실행시킬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관련 데이터가 하드에서 RAM으로 옮겨집니다.(속도가 RAM빠르기 때문) 게임을 실행하면 관련된 파일이 엄청 많은데 그 파일은 RAM으로 옮겨 실행합니다. 옮겨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일은 CPU가 합니다. CPU를 보조해줍니다. 하드 디스크와 CPU의 중간에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HDD
저장공간, 저장 공간이 없으면 안됩니다.
공부할 책들을 넣어놓는 책꽃이에 넣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같습니다. 저장하지 않으면 청소하면서 다 날아갑니다. SSD저장 공간이 엄청 빨라도 RAM에 비하면 턱 없이 부족합니다. SSD가 빠른 이유는 저장이 어디되어있는지 다 외워서 실행시키면 바로 찾을 수 있기 때문
swap이란?
- 시스템에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에 하드 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활용하여 계속 작업을 도와주는 영역(메모리 공간 부족 방지를 위한 임시 방편입니다.)
- 하드 디스크의 일부를 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
- 프로그램들을 많이 실행하여 메모리가 부족하면, 메모리 상에 적재된 프로그램 중 지금 당장 필요하지 않은 프로그램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에 옮겨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
- 물리적 메모리(RAM)의 용량이 가득 차게 될 경우 하드 디스크 공간을 메모리 공간처럼 교환 (swap)하여 사용하는 것
- 스왑 공간은 소량의 RAM을 사용하여 시스템에 도움을 주지만, RAM 대체로 생각하면 안됩니다.
EAI란?
EAI는 Enterprise Architecture Integration의 약자이다.
기업 내 필요한 여러 어플리케이션(채널)이 있을텐데 이런 각종 애플리케이션 간에 상호 연동이가능하도록 통합하는 솔루션
EAI는 왜 필요한가?
한 기업 내의 ERP(전사적자원관리), CRM(고객관계관리), SCP(공급망계획) 시스템이나 인터넷 뱅킹, 모바일뱅킹 등의 시스템 간에는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각 시스템 간에 개별적으로 서로 통신을 한다면 시스템 간에 개별적인 연결이 상당히 많이 생성이 필요하며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시스템이 6개일 때 각 시스템이 개별적으로 연동된다면 15개의 연결이 생긴다. 그로 인해 유지 보수의 어려움이 생긴 뿐더라 운영체제가 다르다는 이유로 시스템 간 통신을 위해 시스템을 고쳐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EAI라는 솔루션을 적용한다
MDM
MDM(마스터 데이터 관리)는 비즈니스의 각 개인,장소, 사물에 대해 단일 마스터 레코드 소스를 생성하고 유지보수하는 프로세스 입니다. MDM을 통해 기업은 더 나은 보고, 의사결정, 프로세스 효율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비즈니스 전반에서 공유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최신 핵심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DBMS란?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의 잡합'이라고 정의한다면, 이런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라고 합니다.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명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과 공유 하고 동시에 접근이 가능해야 합니다.
가까운 예로 은행의 예금 계좌는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 명의 예금 계좌 정보를 모아 놓은 것이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은행이 가지고 있는 예금 계좌 데이터베이스에는 여러 명이 동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금 계좌 주인, 은행 직원, 인터넷 뱅킹, ATM 기기 등에서 모두 접근이 가능하니까요. 이러한 것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DBMS가 있기 때문입니다.
실행계획 이란?
- sql Statement이 요구한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DBMS가 차례로 수행하는 Access과정
- 통계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Access Path를 수립하고 그중 Cost가 가장 낮은 Access Path를 결정
- 옵티마이저에 의한 Plan이 잘못 수립될 가능성이 있기에 이해하고 제어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