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0- 리눅스
pwd: 현재 작업 디텍토리를 확인
-- 파일을 생성하는 법
touch myfile 빈 파일을 생성한다.
문서편집기 vi, nano
복사/ 이동/ 재명명 : cp, mv
리다이렉트:
ls > ls-file
> : 새로운 파일의 생성
>>: 새로운 파일의 생성 & 파일의 내용을 추가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
cat my-file
more: 한 페이지씩 조회
less: 한 페이지씩 조회 방항키 사용가능
tail: 파일의 끝부분 조회
-[n]: 해당 수의 라인조회
- f : 해당 수의 라인 조회
head : 파일의 앞부분 조회
- [n] : 해당 수의 라인 조회
vi/ nano
su - root : 해당 계정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su root : 현재의 디렉토리에서 해당 계정의 권한으로 사용
-- 계정을 바꾸거나, 자겅번에 확인 해야할 사항
hostname
whoami
pwd
ls
who
vi myedit -> i 입력후 글쓰기
--문서 편집기
vi 파일명
-- 명령모드 -> 편집 상태 이동
a,i, o , O
a: 커서의 뒤쪽에 삽입
i: 커서의 앞쪽에 삽입
o: 커서의 아래쪽에 삽입
O: 커서의 위쪽에 삽입
-- 편집종료 및 상태 이동
:wq -> 저장하고 종료하기
: q! -> 편집한 문서 버리고 종료하기
-- 명령모드
[n] dd : [n]줄(Line) 삭제
[n] x : [n] 문자 (char) 삭제
[n] yy: [n]줄(Line) 복사 -> ctrl +c
p : ctrl +v
cw: 단어를 수정
gg: 문서의 처음으로 이동
G :문서의 마지막으로 이동
/ 문자열: 문자열 찾기
-- 라인 모드
u: 직전작업 취소
e! : 현재 편집 문서를 버리고 최초 문서로 버리고 최초 문서로 다시 읽어오기
[n]: 해당라인으로 이동/재명명
set number : 편집문서의 줄번호 보기
set nonumber: 편집문서의 줄번호 취소
--nano 파일명
ctrl_x > y > enter : 편집문서 저장하고 종료하기
줄번호
shift + alt+ 3
문자열 찾기 / 바꾸기
ctl + w
ctrl +\
문자열 복사/ 붙어넣기
alt+a, alt+6, ctrl+u
한줄 삭제
ctl + k
작업취소/실행 (undom redo)
undo : alt + u
redo : alt + e
-------------
-- 권한의 변경
chmod 권한 파일명
chmod 766 ed-edit01
-----
디렉토리의 생성/삭제
mkdir inho
-p: 하위 디렉토리까지 한번에 생성...
rmkdir -p ./inho/shin/in/ho
-p: 하위 디렉토리까지 한번에 생성..
mkdir -p ./inho/shin/in/ho
rmdir inho -> 현재 디렉토리에서 삭제
rm -rf into -> 하위 디렉토리 모두 삭제
----
파일의 삭제
rm 파일명
-r : 하위 디렉토리 모두 삭제
-f : 삭제시 물어보지 않고 삭제